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도 주해
  • 이륜행실도 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륜행실도 서문


서1ㄱ

二倫行實圖 序
天生蒸民 有物有則 該而目之爲五倫 撮而揭之爲三綱 皆根於人心之所固有 天理之所當然 其曰倫 曰綱非有二也
本朝三綱行實之書 旣廣布中外 人人皆知忠臣孝子烈婦之行 爲可仰也 莫不感激奮礪 以興起其善心 獨於長幼朋友二倫 未之見焉 今慶尙道觀察使 金公諱安國 嘗在政院 入侍
經幄 請撰二倫行實 添續三綱 以備觀感

서1ㄴ

上可之 下禮曹 令設局 撰進
命未及行而 公 出按于南 首囑前司譯院正 曺伸 撰集歷代諸賢 處長幼交朋友 其行跡 可爲師法者得若干人 於兄弟圖 附宗族於朋友圖 附師生 紀事圖贊諺譯 悉倣三綱行實 刊于金山郡 請余爲序 余 受而讀之 爲之言曰 書曰 立愛惟親 立敬惟長 始于家邦 終于四海 曾子曰 君子以文 會友 以友 輔仁 蓋 敬長 所以廣其悌也 取友 所以輔其德也 將使一國之人 人人 興於悌

서2ㄱ

以敬其長則 風俗 其不厚乎 人人 取其友 以輔其德則 善人 其不衆乎 風俗厚則 上下安 善人 衆則 治道進 然則 是書 自當與三綱行實 並行於世 爲
聖朝敎化之基本 豈不美歟 恭惟我
主上殿下 聖智天縱 日與賢士大夫 討論經史講劘治道 莫不以敎化爲致治之先務 公 能上體
聖意 賦政之初 汲汲焉編輯是書 刊行州里 以扶植彝倫 爲化民之本 而躬率 礪師生 以

서2ㄴ

考其德業 旁搜孝行貞烈之卓異者 聞于
上而旌表之 又令 慶州 安東 等五邑 刊書籍之有關於治道者 凡十一 其曰 童蒙須知 正蒙養也 曰 口訣小學 培根本也 曰 三綱二倫行實 明人倫也 曰 性理大全 崇正學也 曰 諺解正俗 諺解呂氏鄕約 正鄕俗也 曰 諺解農書 蚕書 敦本業也 曰 諺解瘡疹方 辟瘟方 救夭札(扎)也 此雖未足以盡公之善 而然 因此可以見公之學問抱負大有以異於人也 噫 世之觀是書者 其皆以公之

서3ㄱ

心爲心 勉之哉
正德戊寅三月日晉川姜渾書于東皐村舍
Ⓒ 필자 | 강혼 / 1518년(중종 13) 3월

이륜행실도 서문
하늘이 여러 백성을 내시니 사물이 있으면 법칙이 있다. 갖추어서 조목을 펼치면 오륜(五倫)이 되고 추려서 게시하면 삼강(三綱)이 되는데, 모두 사람의 마음에 본래부터 있는 것과 천지 자연 이치의 당연한 것에 근본한 것이니, 그 윤리[倫]라고 하고 강기[綱]라고 하는 것이 두 가지가 있는 것이 아니다.
본조(本朝)에서 삼강행실(三綱行實)에 관한 책을 이미 중앙과 지방에 널리 반포하여 사람마다 모두 충신(忠臣)·효자(孝子)·열부(烈婦)의 행실을 알고 우러르게 하여 감격하고 분발 면려하며 그 착한 마음을 흥기시키지 않음이 없었다. 그런데 유독 장유(長幼)와 붕우(朋友) 이륜(二倫)에 있어서는 볼 수가 없었다. 지금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공 휘 안국(金公諱安國)이 일찍이 승정원(承政院)에 있으면서 경악(經幄)에 입시(入侍)하여 이륜행실(二倫行實)을 편찬하여 삼강에다 첨가하여 이어서 눈으로 보고 감동하는 데 대비하도록 청원하자, 임금이 그것을 옳게 여겨 예조(禮曹)에 회부하여 임시 관아를 설치해서 편찬하여 올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 명을 미처 시행하기 전에 김공이 영남의 관찰사로 나가게 되었으므로 맨먼저 전 사역원 정(司譯院正) 조신(曺伸)에게 부탁하여 역대(歷代)의 여러 현인 가운데 장유(長幼) 간에 잘 대처하고 붕우(朋友) 간에 잘 교유한 그 행적을 수집하여 사실을 기록하고, 모범[師法]이 될 만한 자 약간 명을 찾아 형제도(兄弟圖)에다 종족도(宗族圖)를 붙이고 붕우도(朋友圖)에다 사생도(師生圖)를 붙여 사실을 기록하고 그림의 여백에다 찬사를 써넣고 언문으로 번역하기를 모두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모방하여 금산군(金山郡)에서 간행하면서 나에게 서문을 지어달라고 하였다.
내가 받아서 읽어보고 말하기를,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사랑을 세우되 어버이로부터 하시며, 공경을 세우되 어른으로부터 하시어, 집안과 나라에서 시작하여 사해(四海)에서 마치소서.[立愛惟親 立敬惟長 始于家邦 終于四海].’ 하였고, 증자(曾子)는 말하기를, ‘군자는 문(文, 학문)으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써 인을 돕는다.[君子 以文會友 以友輔仁].’라고 하였으니, 대체로 어른을 공경하는 것은 그 공경[悌]을 넓히려는 것이고, 벗을 취하는 것은 그 덕(德)을 도우려는 것이다. 그리하여 장차 온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사람마다 공경에 흥기되어 그 어른을 공경한다면 풍속이 후하지 않겠으며, 사람마다 벗을 취하여 그 덕을 돕는다면 착한 사람이 많아지지 않겠는가? 풍속이 후해지면 위아래가 편안해 지고, 착한 사람이 많아지면 다스리는 도리가 진취할 것이니 그렇게 되면 이 책이 저절로 ≪삼강행실≫과 함께 세상에 행해져서 성조(聖朝) 교화(敎化)의 기본(基本)이 될 터이니 어찌 아름답지 않겠는가?” 하였다.
삼가 생각하건대 우리 주상 전하(主上殿下)께서는 하늘에서 허여한 성(聖)스러움과 지혜로 날마다 현명한 사대부(士大夫)와 경전(經傳)과 사기(史記)를 토의하고 논란하며 다스리는 방도를 강습하고 연마하여 교화를, 태평한 정치를 이룩하는 급선무로 삼지 않음이 없으셨고, 김공은 위로 성상의 뜻을 잘 체득하여 정령(政令)을 반포하는 처음에 서둘러 이 책을 편집(編輯)하여 주리(州里)에서 간행하게 하여 사람이 항상 지켜야 할 도리를 도와서 심는 것으로 백성을 교화하는 근본으로 삼아 몸소 솔선하여 스승과 생도를 격려하여 그 덕행과 사업을 상고하게 하고, 곁으로 효행(孝行)과 정렬(貞烈)이 일반 사람보다 뛰어난 이들을 찾아 임금에게 아뢰어 선행(善行)을 표창하게 하였다.
그리고 또 경주(慶州)·안동(安東) 등 다섯 고을에 영(令)을 내려 서적(書籍) 가운데 다스리는 방도와 관련이 있는 것을 간행한 것이 열한 가지였으니, 그 ≪동몽수지(童蒙須知)≫는 어린이 교육을 바르게 하는 것이고, ≪구결 소학(口訣小學)≫은 근본을 북돋우는 것이며, ≪삼강행실(三綱行實)≫≪이륜행실(二倫行實)≫은 인륜(人倫)을 밝히는 것이고, ≪성리대전(性理大全)≫은 정학(正學)을 숭상하는 것이며, ≪언해 정속(諺解正俗)≫≪언해 여씨향약(諺解呂氏鄕約)≫은 향촌(鄕村)의 풍속을 바로잡는 것이고, ≪언해 농서(諺解農書)≫≪언해 잠서(諺解蠶書)≫는 본업(本業)을 돈독히 하는 것이며, ≪언해 창진방(諺解瘡疹方)≫≪언해 벽온방(諺解辟瘟方)≫은 일찍 죽는[夭札] 것을 구제하는 것이다. 이것이 비록 김공의 훌륭함을 모두 드러내기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그러나 이것을 인하여 공의 학문과 포부(抱負)가 보통 사람과는 크게 다른 바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아! 세상에서 이 책을 보는 이들이 모두 김공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아 힘써야 할 것이다.
정덕(正德) 무인년(戊寅年; 1518년, 중종 13년) 3월 일에 진천(晉川) 강혼(姜渾)진주(晉州)동고촌사(東皐村舍)에서 쓰다.* 주001)
※ 이 ‘이륜행실도 서문’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학연구원 조명근 전문위원이 번역하였음.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 이 ‘이륜행실도 서문’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학연구원 조명근 전문위원이 번역하였음.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