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충신도 주해
  • 삼강행실충신도(三綱行實忠臣圖)
  • 길재항절(吉再抗節)
메뉴닫기 메뉴열기

길재항절(吉再抗節)


34ㄱ

吉再抗節 高麗

注書 吉再 그위실 주001)
그위실:
공직.
리고 지븨 갯거늘 恭定大王이 東宮 時節에 블리샤 주002)
블리샤:
블ㄹ.ㅣ-샤. 부르게 하시어.
恭靖大王 엳샤 奉常博士 야시 주003)
야시:
.ㅣ-야-시-. 하게 하시거늘.
上書 내 辛朝애 及第야 門下注書 호니≪辛朝 辛氏ㅅ 朝廷이라≫ 臣下ㅣ 두 님금 업스니 스올 노하 보내야시 늘근 어미 이받고 두 姓 아니 셤기 들 일워지다

34ㄴ

恭靖大王이 보내시고 집 完護라 시니라 永樂 戊戌에 殿下ㅣ 卽位샤 恭定大王 命 받샤 아 벼슬 시고 後에 左司諫大夫 贈시니라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34ㄴ

洪武己巳冬. 注書吉再. 棄官歸家歲在庚辰. 恭定大王在東宮召之. 再至. 啓于. 恭靖大王. 授奉常博士. 再啓東宮辭職. 恭定大王曰. 子之所言. 實關綱常. 但召之者吾. 而官之者. 殿下也. 宜辭於殿下. 再乃上書曰. 再擢苐辛朝. 爲門下注書. 臣無二主. 乞放歸田里. 終養老母以遂臣不事二姓之志. 明日. 恭靖大王御經筵. 問知經筵事權近曰. 吉再抗節不仕. 未審古人何以處之乎. 近對曰. 嚴光不屈. 光武從之. 再若求去. 則不如使之自盡其心之爲愈也. 恭靖大王乃許歸. 仍復其家. 永樂戊戌. 殿下卽位. 承恭定大王命. 官其子. 宣德丙午. 贈左司諫大夫
崧山王氣已成灰. 眞主龍興泰運開. 尙戀舊君全一節. 飄然歸卧子陵臺.
亭亭高節凜秋霜. 直欲追蹤餓首陽. 聖代褒崇彰義烈. 三韓億載樹綱常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길재항절 고려
주서 길재가 관직을 버리고 집에 갔는데, 공정대왕(恭定大王 : 조선 3대 태종)이 동궁 시절에 부르게 하시고, 공정대왕(恭靖大王 : 조선 2대 정종)께 여쭈셔서 봉상박사를 하게 하시니, 상서하기를, “내가 신조(1386년, 고려 32대 우왕 12년)에 급제하여 문하주서를 하니≪신조는 신씨 조정이다.≫, 신하가 두 임금 없으니 시골에 놓아 보내시면 늙은 어미 봉양하고 두 성 아니 섬기는 뜻을 이루고 싶습니다.” 공정대왕(恭靖大王 : 조선 2대 정종)이 보내시고 집을 나라에서 보살피라 하시었다. 태종 18년(1418)에 전하(조선 4대 세종)가 즉위하시자 공정대왕(恭定大王)의 명을 받잡으셔서 아들을 벼슬 시키시고 나중에 좌사간대부를 추증하시었다.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위실:공직.
주002)
블리샤:블ㄹ.ㅣ-샤. 부르게 하시어.
주003)
야시:.ㅣ-야-시-. 하게 하시거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