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효자도 주해
  •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 왕상부빙(王祥剖氷)
메뉴닫기 메뉴열기

왕상부빙(王祥剖氷)


17ㄱ

王祥剖氷

王祥이 져머셔 주001)
져머셔:
졈-ㅓ셔. 어려서.
어미 일코 다어미 주002)
다어미:
계모.
朱氏 아그 하라 주003)
하라:
할-ㅏ. 참소하여.
每常  츠이거늘 주004)
츠이거늘:
치우게 하거늘.
王祥이 더욱 조심야 며 父母ㅣ 病야 잇거늘  그르디 아니며 藥 제 모로매 맛보더라 어미 녜 산 고기 먹고져 커늘 옷 밧고 어름 려 주005)
려:
리-ㅓ. 부숴뜨리어.
자보려 터니 어르미 절로 베여디여 두 鯉魚ㅣ 소사 나거늘 가져 도라오니라 어미  새 져글 주006)
져글:
젹~ᅟᅳᆯ. 적(炙)을.
먹고져 커늘 새 數十이 지븨 라 드니라 머지 주007)
머지:
멎~ㅣ. 능금.
여렛거늘 어미 디킈라 대

17ㄴ

비  저기면 남 안고 우더라 어미 죽거늘 슬허 막대 딥고 니더니 後에 그위실야 三公 주008)
삼공:
삼정승.
ㅅ 벼슬 니르리 니라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17ㄴ

王祥. 琅邪人. 蚤喪母. 繼母朱氏不慈. 數譖之. 由是失愛於父. 每使掃除牛下. 祥愈恭謹. 父母有疾. 衣不觧帶. 湯藥必親嘗. 母嘗欲生魚. 時天寒氷凍. 祥解衣. 將剖氷求之. 氷忽自解. 雙鯉躍出. 母又思黃雀炙. 復有黃雀數十飛入其幕有丹柰結實. 母命守之. 每風雨. 輒抱樹而泣. 母歿居喪毁瘁. 杖而後起. 後仕於朝. 官至三公
王祥誠孝眞堪羡. 承順親顔志不回. 不獨剖氷雙鯉出. 還看黃雀自飛來.
鄕里驚嗟孝感深. 皇天報應表純心. 白頭重作三公貴. 行誼㔫爲世所欽
晉有王祥. 生魚母嗜. 天寒川凍. 網釣難致. 解衣卧氷. 自躍雙鯉. 懇懇孝誠. 奚止此耳. 抱柰夜號. 羅雀朝饋. 後拜三公. 名摽靑史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왕상부빙 진나라
왕상이 어려서 어미 잃고 계모 주씨가 아비에게 참소해서 늘 쇠똥 치우게 하니, 왕상이 더욱 조심해서 하며, 부모가 병들어 있으면 띠 풀지 아니하며 약을 제가 반드시 맛보더라. 어미가 늘 산 고기를 먹고자 하기에 옷 벗고 어름 깨어 잡으려 하더니, 어름이 절로 베어 지고 두 잉어가 솟아 나기에 가지고 돌아왔다. 어미가 또 참새 적을 먹고자 하니 참새 수십 마리가 날아 들었다. 능금 열매가 열면 어미가 지키라 하므로 비바람이 칠 적이면 나무를 안고 울더라. 어미가 죽으니 슬퍼서 막대 짚고야 다니더니, 나중에 벼슬살이를 해서 정승 벼슬에 이르도록 하였다.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져머셔:졈-ㅓ셔. 어려서.
주002)
다어미:계모.
주003)
하라:할-ㅏ. 참소하여.
주004)
츠이거늘:치우게 하거늘.
주005)
려:리-ㅓ. 부숴뜨리어.
주006)
져글:젹~ᅟᅳᆯ. 적(炙)을.
주007)
머지:멎~ㅣ. 능금.
주008)
삼공:삼정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