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효자도 주해
  •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 맹희득금(孟熙得金)
메뉴닫기 메뉴열기

맹희득금(孟熙得金)


14ㄱ

孟熙得金

孟熙 果實 라 어버 이바며 주001)
이바며:
이받-으며. 대접하며, 봉양하며.
데 주002)
데:
~ㅔ. 뜻에.
거슬 주003)
거슬:
거슬-ㄴ. 거슬린.
이리 업더니 그 아비 녜 닐오 내 비록 艱難코도 주004)
가난(艱難)코도:
가난하-고도. 가난하지만.
曾參 주005)
증삼(曾參):
공자의 제자로서 효자로 유명한 사람.
길어 주006)
길어:
기르-어. 길러.
내요라 주007)
내요라:
내-요-라. “-요-”는 이 월의 임자말이 일인칭임을 나타냄.
더라 그 아비 죽거늘 믓 머굼 주008)
믓 머굼:
므.ㅅ 머굼. 물 (한) 모금. “므”는 사이시옷 앞에서 “믈”이 변형한 것임.
도 아니 먹고 하 우러 마 죽게 외야 거적 주009)
거적:
셤+ㅅ+거적. 섬거적.
오 주010)
오:
-오. 깔고.
이셔 三年을 소고 주011)
소고:
소곰~. 소금을.
먹디 아니대 먼  사 니르리 주012)
니르리:
니를+ㅣ. 이르도록.
降服 주013)
항복(降服):
감복.
야 더라 쥐구무 다가 金數千兩 어더≪數 두히라≫  가멸의 주014)
가멸의:
가멸-의. 가멸게. 부유하게.
외니라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14ㄴ

孟熙. 販果實養親. 承顔順志. 不憚苦辛. 其父常云. 我雖貧. 養得一曾參. 及父亡. 絶漿哀號. 幾至滅性. 布苫于地. 寢處其上. 三年不食鹽酪. 遠近嘆服. 因見鼠掘地得黃金數千兩. 因巨富焉
家貧負販養嚴親. 承順何嘗憚苦辛. 歿後居喪能盡禮. 行同曾子異常人.
掘鼠何由遽得金. 孝親於此感天心. 一時不但家能富. 贏得香名說到今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맹희득금 촉나라
맹희가 과일 팔아 어버이 봉양하며 뜻에 거슬리는 일이 없더니, 그 아비 늘 이르되, “내 비록 가난하지만 증삼 같은 효자 하나를 길러 낸다” 하더라. 그 아비 죽으니 물 모금도 안 먹고 하도 울어 이미 죽게 되어 섬 거적 깔고서 3년을 소금을 먹지 아니하니, 먼뎃 사람 이르도록 감복하더라. 쥐구멍 파다가 금 수천 량을 얻어≪수는 두엇이다.≫ 아주 부유하게 되었다.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바며:이받-으며. 대접하며, 봉양하며.
주002)
데:~ㅔ. 뜻에.
주003)
거슬:거슬-ㄴ. 거슬린.
주004)
가난(艱難)코도:가난하-고도. 가난하지만.
주005)
증삼(曾參):공자의 제자로서 효자로 유명한 사람.
주006)
길어:기르-어. 길러.
주007)
내요라:내-요-라. “-요-”는 이 월의 임자말이 일인칭임을 나타냄.
주008)
믓 머굼:므.ㅅ 머굼. 물 (한) 모금. “므”는 사이시옷 앞에서 “믈”이 변형한 것임.
주009)
거적:셤+ㅅ+거적. 섬거적.
주010)
오:-오. 깔고.
주011)
소고:소곰~. 소금을.
주012)
니르리:니를+ㅣ. 이르도록.
주013)
항복(降服):감복.
주014)
가멸의:가멸-의. 가멸게. 부유하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