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강행실도

  • 역주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효자도 주해
  •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 곽거매자(郭巨埋子)
메뉴닫기 메뉴열기

곽거매자(郭巨埋子)


12ㄱ

郭巨埋子

郭巨의 어미 녜 주001)
녜:
늘.
바 더러 세 주002)
설:
살.
머근 孫子 머기더니 郭巨ㅣ 제 겨집려 닐오 艱難 주003)
가난(艱難):
가난한.
거긔 주004)
거긔:
ㄱ.ᅟᅥᆨ~ㅢ. 그곳에. 거기.
내 아리 어믜 바 앗니 주005)
앗니:
앗-니. 앗으니.
무더 리져라 주006)
리져라:
리-져라. 버리자꾸나.
고  석 자 주007)
자:
잫~. 자를.
니 金  가매 주008)
가매:
가마~ㅣ. 가마가. 솥이.
나니 그를 써 이쇼 주009)
이쇼:
이시-ㅗ. 있으되.
하히 孝子 郭巨 주시다 야 잇더라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81년(성종 12)

12ㄴ

郭巨. 家貧養母. 有子三歲. 母常减食與之. 巨謂妻曰. 貧之不能供給. 子奪母膳. 可共埋之. 妻從之. 掘地三尺. 見黃金一釜. 上有書云. 天賜孝子郭巨. 官不得奪. 人不得取
郭巨家貧. 養親竭力. 母憐幼孫. 每分其食. 謂兒若在. 恐母或飢. 呼妻掘地. 擧將埋之. 得金滿釜. 上有刻書. 天賜孝子. 人勿奪諸
Ⓒ 편찬 | 세종(조선) 명찬 / 1434년(세종 16) 11월 25일 반포

곽거매자 한나라
곽거의 어미가 늘 밥을 덜어 세 살 먹은 손자를 먹이더니, 곽거가 제 아내더러 이르되, “가난한 터에 내 아들이 어미의 밥을 앗으니 묻어 버리자꾸나” 하고, 땅을 석 자를 파니, 금 한 가마가 나니, 글을 써 있기를, “하늘이 효자 곽거를 주신다.” 하여 있더라.
Ⓒ 역자 | 김정수 / 2010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녜:늘.
주002)
설:살.
주003)
가난(艱難):가난한.
주004)
거긔:ㄱ.ᅟᅥᆨ~ㅢ. 그곳에. 거기.
주005)
앗니:앗-니. 앗으니.
주006)
리져라:리-져라. 버리자꾸나.
주007)
자:잫~. 자를.
주008)
가매:가마~ㅣ. 가마가. 솥이.
주009)
이쇼:이시-ㅗ. 있으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